목록위치측정법 (1)
Min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 입니다! ## 지난 글에 대한 코멘트 (인벤 댓글 발췌) 1. 우리 은하 주변에서의 드레이크 방정식?드레이크 방정식의 변수들을 다시 적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 은하당 평균 별 생성률fs : 행성을 가진 별의 비율ne : 적당한 온도를 위한 적당한 궤도상에 존재하는 행성의 개수(골디락스 존)fl : 그러한 행성에서 생명체가 발생할 확률fi : 발생한 생명체가 지성을 가지도록 진화할 확률fc : 통신기술을 가진 문명으로 발달할 확률L : 그러한 신호를 보내는 문명의 존속기간 이 중에서 뒤에 텀들인 fl~L 까지는 보통 범위와는 무관한, 어찌보면 고정적인 값입니다.(비록 생물학적, 사회학적인 논쟁의 여지는 있을지언정) 따라서 우리가 드레이크 방정식을 적용시킬 때 주요변..
Daily/Major
2014. 7. 2. 0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