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aily (52)
Min
비행기가 뜨는 원리에 대해 현재 가장 많은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면 유체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압력이 감소한다. 비행기 날개는 위쪽면이 둥근 형태를 띠고 있어 앞쪽에서 위/아래로 갈라진 공기가 뒤에서 동시에 도달하려면 이동경로가 긴 위쪽 공기가 아래쪽보다 훨씬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그러므로 속력이 빠른 위쪽 공기는 압력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위쪽방향의 알짜힘인 "양력" 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방식은 사실 틀렸다. 그림 1 - 여러 에어포일 형태(*에어포일 airfoil = 비행기 날개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잘못 적용한 대표적인 예시중의 하나이다. 실제로 비행기 중에는 라이트 형제의 초창기 복엽기..
수업 마지막 시간에 아이들과 같이 나가서 사진 촬영 :D 반영식부터 못본것은 좀 아쉽지만... 그럴려면 수업을 완전히 제껴야 하기 때문에 ~ ** 이미지 원본이 너무 커서 외부링크로 올립니다.우클릭하여 "새탭에서 이미지 보기" 누르면 원본으로 볼 수 있습니다 :D
회전하고 있는 물체의 각운동량은 \(L=I\omega\)로 구해진다. 여기서 \(I\)는 ‘관성모멘텀’ 이며 회전운동에서의 질량에 해당된다. \(\omega\)는 각속도이며 역시 회전운동에서의 속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각운동량은 회전운동에서의 운동량으로 물체가 계속 회전하려는 ‘회전관성’을 만드는 근본적인 물리량이다. 회전관성을 쉽게 떠올리려면 느리게 굴러가는 자전거와 빠르게 굴러가는 자전거 위에서 어떤 것이 더 중심을 잡기 쉬운지 떠올리면 된다. 각운동량이 큰 빠르게 굴러가는 자전거 바퀴는 더 큰 회전관성을 가지므로 옆으로 쓰러지기 더 어렵다.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직선운동 회전운동 속도 각속도 질량 관성모멘텀 운동량 각운동량 운동량 보존 법칙 각운동량 보존 법칙 위 ..
원본은 네이버 지식나눔 [과학포스터] "주기율표" http://blog.naver.com/nv_science/220988997673 사이즈가 너무 커서 A4 한장에 조절하기 위해 수정된 버전으로그외 오타 수정(열개정도 잘못 표기된 부분 찾았는데 이미 오타찾기가 끝나서 그런지 네이버 측의 답변은 없다..) 원소 설명에 대한 전체적인 수정 원자오비탈이미지 추가등의 수정이 들어갔습니다. 네이버 캐스트 박준우 교수님의 "화학원소" 편이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밝힙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896&cid=58949&categoryId=58982 학원 아이들 배포용으로 제작해봄 :D아래는 샘플 이미지.
전자기학에서 가속하는 하전입자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는다. 비슷한 현상이 중력에서도 발생한다.즉, 가속운동을 하는 질량을 가진 물체는 중력파를 방출하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게 된다. 대표적인 예가 매우 빠른 속도로 서로 공전을 하는 펄서(Pulsar)나 블랙홀의 경우이다. #image1. 서로 공전하는 거대블랙홀과 배경의 별들(시뮬레이션으로 얻어진 이미지)배경의 별빛은 블랙홀의 중력렌즈 효과에 의해 우리에게 왜곡되어 관측된다. 이러한 중력파는 4차원 시공간 자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 더불어 질량이 0인 빛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수면위에 떠 있는 공이 물결에 의해 위아래로 진동하는 것을 상상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 "떨림" 을 느낀다면 우리는 중력파를 느낀, 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