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

드디어 제작 완료! 네이버의 천체 포스터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하였다. 거의 1년 넘게 걸린 듯... 소재는 세균/바이러스/프라이온(프리온) 원래는 질병을 일으키는 종류만 포함하려 했는데 유명한 것들 우선적으로 목록을 고르다보니 인간에게 유익한 대상(초산균, 백시니아 등)도 몇몇 포함되었다. 원본 사이즈는 A1 크기

옥상에서 코동+태양필터+폰으로 촬영 ^~^ 한장으로 이것 저것 합쳐봤는데 이게 최선이다.....

안녕하세요. 현재 금붕어 3마리가 살고 있는 2자슬림(60*25*30) 무여과 무환수 어항 운영 중인 고양고양 고양시의 어느 과학선생님입니다.(*A1) (질산 테스트 결과가 궁금하신 분들은 글 가장 말미의 Appendix를 참고해주세요.) 이 글을 적게 된 계기는 크게 다음 세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①무여과 무환수 어항에 대한 유투브 크리에이터 원X팜님의 영상에 깊은 감명을 받아서 ②직접 무여과 무환수 어항을 만들며 느꼈던 것들을 공유하고 싶어서 ③무여과 무환수 항에 대한 과학적인 원리를 어려워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③이 제일 큽니다 ㅋㅋㅋ) 일반인 분들도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무여과 무환수 항에 대한 과학적인 원리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이미 제시된 무여과 무환수 항의 형태를 그대로 따라하셔도 무방..

첫 시작은 어떤 학생의 실험 결과를 보는 도중이었다. 실험 아이디어는 교과서에도 자주 등장하는 간단한 실험이다. 같은 높이의 사이클로이드 트랙과 빗면 트랙을 제작한 후 동일한 물체를 최고점에서 가만히 놓는다. 최저점에 동일한 나무도막을 놓고 물체가 나무도막과 함께 미끄러지다가 정지한 거리를 측정한다. 두 물체가 함께 이동하면서 멈춘 거리를 비교하면 충돌 직전 질량 \(m\)인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에너지 보존 측면에서 다음과 같다. 처음 질량 \(m\)인 물체의 위치에너지(\(E_1\)) = 트랙을 따라 내려오며 마찰력으로 손실된 에너지(\(E_2\)) + 충돌 직전의 운동에너지(\(E_3\)) 또한, 충돌 직전의 운동에너지(\(E_3\)) = 비탄성 충돌과정에서 손실된 에너지(\(..
그림1 - 물이 빠지는 수조에서의 코리올리 효과(popularmechanics.com) 이미 전향력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있는 사람 이거나,학창시절때 과학시간에 졸지 않고(!) 잘 들은 사람 이라면(혹은 그런걸 다 떠나서 눈치가 정말 빠른 사람도!)위 그림의 실험이 북반구에서 행해졌음을 알아챌 것이다. 우리가 익히 배웠던 "북반구에서는 저기압 중심이 반시계 방향이야~" 라고 하던 현상의 본증이다. 자세히 보면 물의 이동방향을 알기 위해 뿌려놓은 색소들이 가운데 구멍을 기준으로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CCW)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빨려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2 - 저기압 중심에서의 공기의 흐름(북반구)(eoas.ubc.ca) 실제 저기압에서도 공기가 중심부로 몰려들기 때문에,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