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59)
Min
여덟번째 이야기는 별의 종족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지난 글에 대한 코멘트는 별 다른 질문이 없는 관계로 생략! ---------------------------------------------------------------------------- 사람을 가장 단순하게 나눈다면 피부색에 따라 황인종, 백인종, 흑인종으로 나눌 수 있겠다. 셋 모두 똑같은 '사람' 이지만 인종에 따라 약간의 두드러진 특징들 (예를 들면 흑인은 신체골격이나 근육량이 좀더 발달한다거나)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별의 경우도 몇 가지 종족이 존재하며 각각의 종족에 따라 상이한 특징들을 가진다. 다만 여기서 의미하는 상이한 특징은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Main Sequence Star) 상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태아 상태..
외계행성 탐사에 관한,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 지난 글에 대한 코멘트 (인벤 댓글 발췌) 1. 나선팔의 생성 원인?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여러모델이 존재하지만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은 영역입니다.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내용들이 그러하듯, 여러 모델들이 존재하여 굉장히 길어지기 때문에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현재 가장 정설은 밀도파(Density Wave) 에 의해 생성된다고 보고있습니다. 나선은하에서 나선팔 사이의 어두운 부분에도 별들이 존재합니다.다만, 별들이 은하의 질량중심을 향해 공전하는 움직임 속에서 마침 그 순간에 나선팔 영역에 별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우리에게 '팔 모양' 으로 보이는 것이라 설명합니다. 위의 그림이 Density Wave에 대한 ..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 입니다! ## 지난 글에 대한 코멘트 (인벤 댓글 발췌) 1. 우리 은하 주변에서의 드레이크 방정식?드레이크 방정식의 변수들을 다시 적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 은하당 평균 별 생성률fs : 행성을 가진 별의 비율ne : 적당한 온도를 위한 적당한 궤도상에 존재하는 행성의 개수(골디락스 존)fl : 그러한 행성에서 생명체가 발생할 확률fi : 발생한 생명체가 지성을 가지도록 진화할 확률fc : 통신기술을 가진 문명으로 발달할 확률L : 그러한 신호를 보내는 문명의 존속기간 이 중에서 뒤에 텀들인 fl~L 까지는 보통 범위와는 무관한, 어찌보면 고정적인 값입니다.(비록 생물학적, 사회학적인 논쟁의 여지는 있을지언정) 따라서 우리가 드레이크 방정식을 적용시킬 때 주요변..
'이 우주에 우리가 정말 혼자인가?' 에 대한 대답. 외계행성 탐사는 오랫동안 흥미로운 문제였지요.본 글에서는 천문학적으로 외계행성을 탐색하는 내용을 적어보려합니다. ## 지난 글에 대한 질문들 몇 가지(인벤 댓글 발췌) 1. 거대블랙홀(Super Massive Black Hole : SMBH) 형성에 관하여지난 글에서 태양질량의 수십만~수백만배인 SMBH의 생성재료(시드)에 대하여 태양질량 정도의 항성블랙홀(Stellar Black Hole : SBH)이 재료가 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댓글에서 한분이 짚어주셨듯이 이는 SMBH의 여러 가설중의 하나였고, 현재 정설로는 우리가 아는 SBH가 합병되어 SMBH가 되기에는 우주의 나이보다 더 큰 스케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라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블랙홀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댓글 200개 가까이 받아본 적은 처음인 것 같아요!질문해주신 분들, 그리고 저 뿐만아니라 댓글로 같이 답변해주신 분들에게도 감사를 표합니다. 댓글이 많은 만큼 질문도 많아져서 고르기가 힘들었는데요.. 그중에 특히 논란이 되었던 두가지를 적어보았습니다. 질문의 깊이도 있고 자세하게 쓰다보니 길어진 감이 있는데.. 개인적인 흥미가 없으시다면 이부분은 스킵하셔도 무방합니다.(답변이 '일반인을 위한' 을 초과한 감이 있습니다.. 질문의 깊이가 갈수록 깊어지는 점은 뿌듯하네요~) ## 지난글에 대한 질문들 몇 가지(인벤 댓글 발췌) 1. 최근 CMB(우주배경복사)에서 중력파의 흔적을 찾아낸 것에 대하여 → 굉장히 많은 분들이 뉴스로 접하셨을것 같습니다. 해당 연구는 남극 근처에 관측..